하이브리드앱
아이폰, 안드로이드 등 모바일 운영 체제(OS)별로 구현하는 앱
HTML 등의 웹 문서로 구현하여 패키징은 모바일 운영 체제(OS)별로 구현한 앱
먼저 HTML, 종속 스타일 시트(CSS: Cascading Style Sheets), 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 등 웹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구현합니다.
그 다음 안드로이드(Android)나 아이폰(iOS) 개발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로 해당 웹 페이지들을 로딩하여 OS 환경에 맞게 빌드(build)하여 만들어진 것을 말합니다.
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동작되는 앱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.
모바일 OS별로 제작해야 하는 네이티브 앱(native App)은 제작 기간이 길고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 등의 부담이 크다. 반면 모바일 웹은 OS별로 코드를 개발할 필요가 없고, HTML5 같은 언어로도 고급 표현이 가능합니다. 이에 모바일 웹과 네이티브 앱의 장점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하이브리드 앱 방식이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. 제한은 있지만 기존 네이티브 앱의 기능을 대부분 탑재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모바일 웹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푸시 알림 기능이 하이브리드 앱에서는 지원됩니다.
하이브리드 앱은 웹 문서들을 서버 내에 두고 서비스하는 방식과 기본적인 웹 문서들을 사용자 기기에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뒤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이용하는 방식이 모두 가능합니다.
하이브리드 APP의 장점
하이브리드 앱은 기본적으로 ' 네이티브앱 + 웹앱 ' 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.
일반적으론 네이티브웹에 웹view를 띄워 웹앱을 실행 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며 양쪽의 API 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것이 큰 장점 입니다.
네이티브 API 와 브라우저 API 를
이용한
다양한 개발이 가능
웹개발 기술을 사용해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
한번의 개발로 다수의 플랫폼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.
고객사례
디몬스터솔루션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있습니다.